차이나는 클라스! [일본식민지배를 위해 광개토태왕릉비 조작] 의문 제시!
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김병기 교수가
일본이 식민 체제를 정당화하기 위해 광개토대왕비를 변조한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.
지난 3일 JTBC '차이나는 클라스-질문 있습니다'에 출연한 김병기 교수는 한자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.
특히 이날 김 교수는 광개토대왕비 비문 중 조작된 서체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.
지난 3일 JTBC '차이나는 클라스-질문 있습니다'에 출연한 김병기 교수는 한자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.
특히 이날 김 교수는 광개토대왕비 비문 중 조작된 서체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.
대만 유학 시절 광개토대왕비 비문 탁본을 입수한 김 교수는
'서예가로서 고구려 글씨가 너무 좋다'는 생각으로 비문 내용을 필사했다고 말했다.
김 교수는 "필사를 해나가는데 어느 순간 붓이 콱 막히더라"라며
김 교수는 "필사를 해나가는데 어느 순간 붓이 콱 막히더라"라며
"지금까지 써왔던 글씨와는 다른 분위기의 글자를 발견했다"고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.
그가 변조됐다고 느낀 글자는 '도해파(渡海破)' 세 글자였다.
'도해파'가 있는 문장 而倭以辛卯年來'渡海破'百殘□□新羅以爲臣民을 해석하면
그가 변조됐다고 느낀 글자는 '도해파(渡海破)' 세 글자였다.
'도해파'가 있는 문장 而倭以辛卯年來'渡海破'百殘□□新羅以爲臣民을 해석하면
'왜가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와 백제와 신라를 깨부수어 신민으로 삼았다'는 뜻이다.
광개토대왕비에 일본의 업적이 담겨 있는 것이 합당치 않아 보인다.
특히 '도해파' 세 글자 서체만 약간 기울어졌는데,
특히 '도해파' 세 글자 서체만 약간 기울어졌는데,
이것은 광개토대왕릉비 비문의 다른 글자들이 가로,
세로 수직에 네모반듯한 모양인 것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.
김 교수는 이 세 글자의 필체가 과거 일본에서 유행하던 '명조체' 필체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.
아울러 김 교수는 연구 끝에 '도해파' 글자가 새겨진 자리에 원래는 '입공우(入貢于)'라는 글자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론해냈다.
'입공우'는 '~에게 조공을 바치다'라는 의미다.
결국 원래 광개토대왕비에 새겨진 문맥은
결국 원래 광개토대왕비에 새겨진 문맥은
'일본이 신묘년에 백제와 신라에 조공을 바쳤으므로 (고구려는 일본을) 신민으로 삼았다'는 내용이 된다.
다만 김 교수의 가설은 한국 고대사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.
다만 김 교수의 가설은 한국 고대사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.
그는 "아직 많은 사람이 공인하지는 않았다"면서도
"나름대로 근거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서예학적 관점에서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"고 강조했다.